한국사입문 강의는 읽는 강의와
듣는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글로 먼저 읽는 한국사ㅣ 003. 고조선의 역사 ★★
1. 단군조선의 건국과 성장
단군신화: 곰이 웅녀가 되어 환웅과 결혼해 단군왕검을 낳았다는 단군신화의 내용. 누구나 한번쯤은 들었을 이야기입니다. 이 믿기지 않는 이야기에는 역사적 사실이 숨겨져 있습니다. 곰이 웅녀가 되어 환웅과 결혼했다는 것은 곰을 섬기는 부족과 환웅을 섬기는 부족이 결합하였다는 말입니다. 곰숭배 부족 군장의 딸과 환웅숭배 부족 군장의 아들을 결혼시키면서 두 부족이 연합했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태어난 아이가 바로 단군왕검입니다. 단군왕검을 이해할 때 왕건, 이성계처럼 사람 이름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대통령, 국무총리처럼 역할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단군'은 제사장이라는 의미고, '왕검'은 정치적 지배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이 명칭을 통해 당시의 사회가 제정일치 사회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국통감의 기록을 따르면 단군왕검은 기원전 2333년 경에 아사달에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웠습니다.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조선의 정식 명칭은 조선입니다. 고려시대의 승려 일연은 단군이 세운 조선과 조금 있다 볼 위만조선을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 불렀고, 이후 14세기 후반 이성계가 세운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단군조선과 위만조선을 모두 포함시킨 의미로 고조선이라 부르고 있는 것이죠. 단군조선의 성장: 단군조선은 요동지역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넓혀갑니다. 기원전 4세기 경에는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당시 중국의 동북부 지역에서 세력을 떨치고 있던 연나라와 대등할만큼 국력을 키웠습니다. 당시 중국은 춘추전국시대로 중국 대륙을 5개~7개의 나라가 나누어 차지하고 서로 경쟁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동북지역을 차지하고 있던 나라가 바로 연나라입니다. 단군조선과 연나라는 요동지역을 두고 어깨를 겨루고 있었는데, 기원전 3세기 초에 연나라가 장수 진개 보내 단군조선을 공격하였습니다. 고조선은 이를 막지 못하면서 요동 지역을 빼앗기고, 한반도 서북지역과 대동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나라를 정비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부왕과 준왕 등의 비교적 강한 왕이 등장하였고, 왕 아래 상, 경, 대부 등의 관직을 두었습니다.
2. 위만조선의 성립과 멸망
중국에서 진나라가 춘추전국시대를 통일하였다가 혹독한 정치로 농민반란이 일어나 멸망하고 이어 새롭게 한나라가 들어섰습니다. 이를 진한교체기라고 하는데, 이때 단군조선은 준왕이 다스리고 있을 때였습니다. 농민이 반란이 일어으켰으니 중국 사회가 얼마나 혼란스웠겠습니까. 이 혼란한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국가를 운영하고 있던 단군조선으로 넘어왔습니다. 그 중 위만이라는 사람이 자기 무리를 이끌고 단군조선으로 왔는데, 준왕의 신임을 얻어 서쪽 국경지역의 수비대장으로 임명됩니다. 위만은 계속해서 넘어오는 유민들을 수용해 정착시켰습니다. 위만의 세력이 점점 커졌고, 결국 위만은 준왕을 몰아내고 자신이 왕위에 앉았습니다. 이때부터를 위만조선이라 부릅니다. 위만은 중국으로부터 철기를 본격적으로 수용합니다. 철제 농기구를 통해 경제력을 키우고, 철제 무기를 통해 군사력을 증가시킵니다. 그래서 본격적으로 주변국가를 흡수하면서 영역을 키워갔죠. 한반도 남부지역에도 크지 않지만 정치세력이 존재하고 있었고, 위만이 나라를 다스릴 때 중국은 이제 한나라가 세워졌을 때입니다. 위만조선은 이 한나라와 한반도 남부의 정치세력 간의 무역을 중계해 주면서 큰 이익을 얻었습니다. 위만의 손자 우거왕이 즉위한 후 중국 한나라 무제는 위만조선의 성장을 견제하면서 위만조선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치라며 압박을 가했습니다. 그런데 위만조선이 이를 무시하자 대군을 보내 위만조선을 공격하였습니다. 우거왕 등은 결사항전하였으나 온건파와 강경파의 갈등이 심해지면서 1년 만에 수도 왕검성이 함락되었고 위만 조선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한나라는 위만조선의 영역에 낙랑, 임둔, 진번, 현도라는 이름으로 4개의 군(중국 지방 행정 기구)을 설치하였는데, 이를 한나라에서 만든 4개의 군이라 하여 한사군이라 합니다. 한나라는 이 4개의 군으로 위만조선의 백성들을 통치하였습니다.
3. 고조선 사회의 특징
고조선 사회의 모습이 어떠하였는가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가 있습니다. 바로 고조선의 8조법입니다. 현재는 3개만 전해내려 오고 있는데, 사람을 죽인자는 사형, 남을 다치게 하면 배상, 절도한 자는 노비로 삼고 죄를 면하려면 50만전을 내야 한다는 규정입니다. 생명을 존중하고 사유 재산을 인정하였으며, 신분이 나누어져 있던 사회임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 8개의 법은 위만조선이 멸망하고 난 후 한사군의 통치시기에 60여개로 늘어납니다. 이는 고조선의 백성들이 한나라의 통치에 계속해서 저항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 소리로 복습하는 한국사 ★★
'한국사 쌩기초 무료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5. 삼국시대 ① 1~3세기 (1) | 2023.09.26 |
---|---|
004. 여러 나라의 성장 (0) | 2023.09.25 |
002. 청동기와 철기 시대 (0) | 2023.09.22 |
001.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 (0) | 2023.09.21 |
000. 한국사의 시대구분 (0) | 2023.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