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 015. 고려시대 ③ 무신정변 한국사입문 강의는 읽는 강의와 듣는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글로 먼저 읽는 한국사ㅣ 고려시대 ③ 무신정변 ★★ 1. 무신정변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은 문벌들 간의 권력 다툼이었습니다. 두 사건을 겪는 과정에서 정치 질서가 흔들렸고 왕권은 약화되었죠. 이 상황에서 인종의 뒤를 이어 제18대 왕인 의종이 즉위합니다. 의종은 문벌들 사이에서 약화된 왕권을 다시 세우고자 노력합니다. 그러나 보수 문벌들의 반발에 부딪혀 의욕을 상실하였습니다. 의종은 정치에 관심을 잃었고, 한뢰, 김돈중 등 자신에게 아첨하는 문신들과 향락에 빠집니다. 그리고 허구헌날 놀러를 다니죠. 그러다가 놀러간 곳 중 하나가 바로 보현원이란 곳입니다. 왕이 놀고 먹고 있으니 정치 권력은 문벌들이 독차지 하게 되었습니다... 2023. 10. 18. 014. 고려시대 ② 문벌 사회의 성립과 동요 한국사입문 강의는 읽는 강의와 듣는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글로 먼저 읽는 한국사ㅣ 014. 고려시대 ② 문벌 사회의 성립과 동요 ★★ 문벌이란 고려를 세운 지배 집단인 호족은 광종 이후부터 실시된 과거제에 응시하여 중앙 관리로 진출하였습니다. 이후 여러 대에 걸처 과거를 통해 관리에 등용된 후 고위 관직으로 승진하는 호족 집안이 생겼습니다. 이 집안(가문)을 문벌이라고 합니다. 이 문벌은 왕실과 혼인하거나, 문벌끼리 결혼을 통해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합니다. 정치적으로 과거를 치지 않고 관료가 될 수 있는 음서라는 제도를 통해 관료가 되기도 하죠. 고려시대에 형성된 대표적인 문벌은 경원 이씨, 해주 최씨, 경주 김씨, 강릉 김씨, 청주 이씨, 남평 문씨, 파평 윤씨, 철원 최씨 등이 있습.. 2023. 10. 18. 013. 고려시대 ① 고려의 건국과 성장 한국사입문 강의는 읽는 강의와 듣는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글로 먼저 읽는 한국사ㅣ 013. 고려시대 ① 고려의 건국과 성장 ★★ 1.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고려의 건국: 궁예가 세운 후고구려는 점차 주변 호족을 흡수하며 세력권을 넓혀갑니다. 송악(현재 개성)지역의 호족이었던 왕건은 후고구려가 세력을 뻗어 오자 궁예의 부하로 들어갔습니다. 후고구려는 신라 영토의 북부 지역을 거의 다 차지하게 되죠. 광평성을 설치하고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던 궁예는 어느 순간부터 미륵신앙에 심취하여 스스로 미륵불이라 칭하면서 전제 정치를 하기 시작합니다. 자신은 독심술을 할 수 있다고 하여 자신의 의견에 반대하는 신하에게 반란을 도모하고 있다고 몰아 처형하는 등의 폭정을 일삼았죠. 궁예는 호족들의 신망을 .. 2023. 10. 13. 012. 남북국 시대 ③ 후삼국의 등장 한국사입문 강의는 읽는 강의와 듣는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글로 먼저 읽는 한국사ㅣ 012. 남북국 시대 ③ 후삼국의 등장 ★★ 1. 통일 신라 하대의 상황 태종무열왕의 직계 자손으로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던 혜공왕이 96각간의 난을 시작으로 한 진골들 간의 다툼속에서 780년 피살되면서 신라의 정치는 혼란의 소용돌이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혜공왕이 피살되고, 진골들 간의 다툼 속에서 김양상이란 인물이 김주원과 김경신의 도움을 받아 제37대 왕인 선덕왕으로 즉위하였습니다. 선덕왕이 죽고 난 후 약 150여년 간 20명의 왕위 교체될 정도로 왕권이 약화되었습니다. 이 150여 년의 기간에 새로 즉위한 왕들은 왕위를 노리는 또다른 진골들을 견제하느라 국정운영을 제대로 할 수 없었죠. 그러다보니 자연.. 2023. 10. 12.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