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 시대 주요 용어 해설

by 코택유 2023. 9. 19.
728x90
반응형

 

국가/시대 용어 해설
  연호 중국 황제들이 사용한 것으로, 황제 자신이 가진 통치에 관한 철학을 담아 표현하였다.  대체로 즉위한 해부터 사용하였으며 중간에 바꾸기도 하였다. 
예) 영락 원년, 광무 4년 등
고구려 영락 영원한 즐거움이라는 뜻. 고구려 광개토왕이 사용한 연호로, 한국의 역사에사 가장 먼저 사용된 연호이다. 
삼국 율령 율은 죄의 처별 규정, 즉 형법을 의미하고 령은 제도와 행정에 관한 법을 말한다. 
고구려 5부 고구려의 건국에 참여한 지배층 5부족을 말한다. 계루부,소노부(비류나부), 연나부(절노부), 환나부(순노부), 관나부(관노부)가 5부이며, 대체로 초기 정치집단을 '나'라고 불렀다. 이 나들은 초기에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점차 중앙 권력에 귀속되었다.
삼국 조공 고대 중국의 제후과 황제를 직접 만나 예물을 바치면서 신하로서 예의를 갖추었던 행위를 말한다. 이것이 국가단위로 확대되어 중국의 주변국들이 사신을 보내 예물 등을 바치는 외교로 발전하였다. 황제는 조공에 대한 답례로 해당국가의 지위를 인정하는 책봉을 하고 답례품을 주었다. 이는 조공과 책봉은 중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고구려 진대법 고구려 고국천왕이 실시한 빈민 구휼제도이다. 이는 백성의 생계를 도와주는 측면도 있었지만 국가의 조세 수취를 안정시키려는 목적도 있었다. 
백제 담로 오늘날의  시-구/군-동/으로 지방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던 것처럼, 백제의 지방행정 구역이 방, 군, 성으로 나뉘기 전 백제가 사용한 지방 행정 구역을 말한다. 담로에는 왕자나 왕족을 보냈다. 담로가 처음 설치된 것은 대체로 근초고왕 시기로 추정한다. 무령왕 때 22담로가 설치되었다가, 성왕 때 5방제가 되면서 사라졌다.
     
     

 

728x90
반응형